직장심리학
직장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조직심리학 용어 10가지
오피스 관찰자
2025. 9. 16. 11:23
직장 생활에서 반복되는 상황과 갈등의 이면에는 늘 심리학적 원리가 숨어 있습니다.
직장인이 알아두면 정말 도움이 되는 조직심리학 용어 10가지를 4가지 분류로 정리해보겠습니다.
목차
1. 동기와 욕구 관련 용어
직장인의 행동을 이해하려면 ‘왜 일하는가?’라는 질문부터 출발해야 합니다.
- 매슬로우 욕구 5단계
- 인간의 욕구는 생리적 욕구 → 안전 욕구 → 사회적 욕구 → 존경 욕구 → 자아실현 욕구로 발전합니다.
- 직장에서 연봉(안전), 동료 관계(사회적), 인정받기(존경) 등으로 구체적으로 드러납니다.
- 허즈버그의 동기-위생 이론
- 불만을 줄이는 ‘위생요인’(급여, 근무환경)과 만족을 높이는 ‘동기요인’(성과 인정, 성장 기회)을 구분합니다.
- 즉, 단순히 불만을 없애는 것만으로는 동기부여가 되지 않는다는 점을 설명합니다.
- 자기결정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
- 인간은 스스로 선택할 때 가장 몰입합니다.
-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이 충족되면 직무 만족도가 높아집니다.
2. 조직 내 관계와 권력
직장 내 인간관계를 이해하면 갈등을 줄이고 협업을 원활히 할 수 있습니다.
- 권력 유형(프렌치와 레이븐의 권력 기초)
- 상사가 가지는 힘은 보상, 강제, 합법, 전문가, 준거권력 등 5가지로 나뉩니다.
- 예: 부장은 ‘합법적 권력’, 능력 있는 선배는 ‘전문가 권력’으로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 인지부조화(Cognitive Dissonance)
- ‘내가 한 행동과 내 신념이 다를 때’ 느끼는 불편함입니다.
- 예: 회식이 싫지만 참석하면 ‘팀워크에 도움 된다’고 합리화하는 심리.
- 역할 이론(Role Theory)
- 직급과 위치에 따라 기대되는 행동이 달라집니다.
- 팀장이 되면 성격이 달라지는 이유도 ‘역할 변화’ 때문입니다.
3. 집단과 팀워크 관련 개념
혼자가 아닌 ‘함께 일하는 방식’을 이해할 때 팀 성과가 달라집니다.
- 사회적 태만(Social Loafing)
- 집단 과제에서 개인이 혼자일 때보다 덜 노력하는 현상입니다.
- 회의나 공동 보고서 작성에서 ‘묻어가기’가 발생하는 이유죠.
- 집단사고(Groupthink)
- 다수 의견에 끌려가면서 비판적 사고가 줄어드는 현상입니다.
- ‘회의에서 다들 찬성하니 나도 찬성’이 전형적인 사례.
- 침묵 효과(Spiral of Silence)
- 회의에서 소수 의견을 말하지 못하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 분위기에 따라 조용히 침묵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느끼는 심리적 효과입니다.
4. 직무와 스트레스 관리
업무 성과와 웰빙을 동시에 지키려면 스트레스 관련 개념 이해가 필수입니다.
- 번아웃(Burnout Syndrome)
-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가 지속될 때 오는 신체·정서적 소진 상태입니다.
- ‘열정이 사라지고 무기력해지는 상태’로,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겪을 수 있는 문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