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생활에서 흔히 마주치는 갈등 중 하나가 바로 ‘파벌’입니다.
단순한 친목 모임처럼 보이지만, 심리학적으로는 뚜렷한 원인이 있고 조직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직장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직장 내 파벌의 원인과 대처법을 생각해보겠습니다.
목차
직장 내 파벌, 왜 생기는 걸까?
직장은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협력과 경쟁을 동시에 하는 공간입니다.
처음엔 점심·취미 모임 같은 가벼운 관계에서 출발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이해관계와 권력이 얽히며 파벌로 고착화됩니다.
단순한 ‘누구랑 친하다’ 수준을 넘어, 업무 평가·승진·성과급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조직 내 긴장을 만듭니다.
파벌의 심리학적 원인 분석
- 사회적 동일시 이론
- 사람은 자신이 속한 그룹을 통해 자존감을 얻습니다.
- 같은 학력, 부서, 취향 등 공통점을 중심으로 모여 ‘우리 그룹’의 우월성을 확인하려 합니다.
- 공통된 이해관계
- 성과급, 승진, 프로젝트 성과 등 이해관계가 일치하면 자연스럽게 뭉치게 됩니다.
- 소속 욕구와 불안감
- “나만 혼자 떨어지면 어쩌지?”라는 불안감이 파벌 참여를 부추깁니다.
- 소외당하지 않으려는 심리가 강하게 작용합니다.
- 리더십과 조직문화
- 특정 상사의 편애, 비공식 모임(술자리·골프 등)에 일부만 참여시키는 리더십은 파벌을 강화합니다.
- 반대로 공정하고 투명한 문화는 파벌을 약화시킵니다.
파벌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적인 측면
- 소속감 강화, 협력 촉진, 정보 공유의 장점이 있습니다.
- 부정적인 측면
- 집단 간 불신, 소통 단절, 공정성 훼손이 발생합니다.
- 정치적 줄서기가 업무 능력을 앞서는 분위기를 만들며 조직 전체 성과를 약화시킵니다.
현명하게 대처하는 방법
- 중립적인 태도 유지
- 특정 집단에 치우치지 않고 객관성을 유지하세요.
- 개인 네트워크 넓히기
- 다양한 부서와 관계를 맺어 균형 잡힌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 유리합니다.
- 투명한 소통
- 은밀히 정보 공유하지 말고, 팀 전체가 알 수 있도록 공개하세요.
- 성과 중심 태도
- 파벌이 아닌 본인의 전문성과 성과로 인정받는 것이 가장 강력한 무기입니다.
- 리더라면 공정성 확보
- 편애하지 않고 공정한 기준을 세우며, 투명한 리더십을 실천해야 합니다.
직장 내 파벌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지만,
그 심리적 배경을 이해하고 현명한 대처법을 실천한다면 불필요한 갈등을 줄이고 건강한 조직 문화를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직장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의에서 내 의견이 묻히는 이유 - 목소리 큰 사람이 이기는 심리 (0) | 2025.09.20 |
---|---|
동료와 친해지면 안 된다? - 직장 친구의 심리학적 딜레마 (0) | 2025.09.19 |
상사가 나를 싫어하는 건 아닐까? - 직장 내 권력 관계 심리 (0) | 2025.09.18 |
우리 회사는 어떤 조직문화일까? - 4가지 문화 유형 진단법 (0) | 2025.09.17 |
직장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조직심리학 용어 10가지 (0) | 2025.09.16 |